< 한국주택의 변천사 >
1. 원시시대
- 신석기시대
- 수혈주거 = 움집
: 땅을 약간 파고 기둥을 경사지게 세워서 나무와 풀을 엮음
: 하천 하류, 해안 평야지대
: 궁산리 주거지: 원형, 중앙에 로지(모닥불)
: 지탑리 주거지: 석기(남성), 토기(여성)의 출토 위치 다름 = 공간 분화 O
* 땅은 주로 원형, 타원형, 모가 둥근 방형으로 팠음
= 공사가 쉽다
2. 청동기 / 철기시대
- 수혈주거 & 귀틀집(나무 #모양으로 쌓고 그 사이는 흙과 돌로 막아)
- 고상주거 ❤ 더운곳
- 평면형태 → 장방형 = 규모 대형화
- 저장공간 내부 X = 농경 ,,, 큰 저장시설 필요 ,,, 저장시설 독립
- 주거 공간기능 분화: 작업대, 칸막이 등
3. 고대
- 삼국시대 불교문화 ,,, 관련 건축기술 도입
- 소규모 초가건물 → 사찰 건축 기술 도입 ,,, 기와집, 궁전
- 현존 X ,,, 고분벽화, 문헌에 의한 고찰
- 수혈주거 탈락
- 용도별 부속공간 설치 ,,, 기능분화 발전 (주공간, 작업공간, 수납공간)
4. 근세 서민주택
- 서울형
: ㄱ,ㄷ,ㅁ 형 평면구조
: 사계절 뚜렷 = 더위&추위 둘 다 적응해야해 ,,, 주택에겐 단점
- 관북형
: 田자형평면 ,,, 최소한의 외부 면적 = 열손실 ↓
: 모든 공간이 부엌과 가까움 = 아궁이와 가깝다 ,,, 따뜻하게
- 관서형
: 대청 X = 추워서
: 방 앞에 좁은 툇마루 = 공기 정체로 인한 보온효과O
- 남부형
: 부억, 안방, 마루방, 건넌방 일렬배치
: 각 방에 툇마루
- 제주도형
: 방 뒤에 폭이 좁은 광 설치 a.k.a 고팡
: 밖거리, 안거리 = 세대분리형 주택
5. 근세 양반주택
- 유교, 신분계급이 영향 많이 끼침
- 안채❤주부, 자녀 / 사랑채❤주인 / 행랑❤하인 / 별당❤노인, 며느리 = 공간분리
- 높낮이 다른 웅장한 지붕 = 입체적 & 부드러운 구조미, 곡선미
7. 근대 / 현대
- 근대 / 현대
: 절충적 형태
: 한+양 절충식: 식사, 접객, 가족 공간 분리
: 한+일 절충식: 복도, 다다미방, 욕실/화장실 실내설치
: 문화주택: 식당/욕실/화장실 내부에 설치한 구성 / 마루 → 거실
- 주거 트렌드
: 첨단화: 스마트홈, 생태주택(탄소/에너지 주택)
: 다기능: 재택근무, 재택학습
: 컴팩트: 세컨하우스, 캡슐주거
8. 1960년대 = 아파트 도입, 집화 주거단지
- 조선시가지계획령
: 토지구획정리사업 이후 본격적 단지개발사업
: 일제강점기: 미쿠니 아파트, 유림 아파트
- 서구의 단지계획 도입
: 마포아파트: Y자형, ㅡ자형 혼합
: 한국 고유 생활방식과 서구식 공간의 충돌
= 아파트의 한국화 시작
9. 1970년대 = 아파트 고층화
- 대규모 아파트 개발 본격화
: 반포아파트: 남향 일자형 배치
: 도로변에 근린상가 배치
- 근린주구론 추구 및 고층아파트 일반화
: ㅁ자형
10. 1980년대 = 대규모 주택단지 개발
- 개포지구 / 고덕지구 / 목동지구 / 상계지구
- 현상설계 도입 / 고층 고밀화(주택보급율 제고) / 계획수법 다양화
: 선수촌아파트: 국제현상, 보행자/차도 분리
: 망미주공아파트: 자연지형 살림 / 테라스하우스 / 생태연못
11. 1990년대 = 초고층 아파트, 신도시
- 개발밀도 증대를 위한 초고층 아파트
- 용적률 증가
- 아파트 단지의 현상설계 일반화
- 옥외공간 중요성 인식 (오픈 스페이스, 휴게공간, 보행공간)
12. 2000년대_1
- 지속가능한 친환경 주거단지
- 초고층 주상복합 및 개발방식 다양화
: 트럼프월드, 타워팰리스
: 설계/시공 통합 & 복합개발
13. 2000년대_2
- 신도시 개발 본격화
- 거점도시의 주택수요 대체 및 기능 분담
- 판교 테크노밸리
- 기타 신도시: 서울과 거리 멂 / 인프라 및 편의시설 미습 ,,, 베드타운화
14. 2010년대 = 콤팩트 시티, 복합 상업시설 결합 아파트
- 개발밀도 증대를 위한 초고층 아파트
- 콤팩트 시티: 협소한 전용면적 → 공용공간 증대 / 어반 셰어링
- 상업시설의 브랜드화 & 복합상업시설
- 3기 신도시 추진
15. 2020년대 = 커뮤니티 시설 고급화 & 주거서비스
- 재건축/재개발 증가
- 대규모 개발단지 중심 커뮤니티 시설/서비스 강화
- 커뮤니티 시설 극대화: 영화관, 워터파크, 아이스링크, 캠핑장 ,,,
- 주거서비스: 조식/중식/석식 서비스, 컨시어지,
< 한국주택의 특징 >
1. 전통주택
2. 아파트 도입
- 단기간에 대표 주택으로 정착
- 급속 발전 = 주택재고량의 64% 차지
- 초고층&대규모: 질적우위(대기업 공급) / 다양한 편의시설 ,,,
- 재테크 대상: 서양은 X
- 한국형 아파트
전통주택 | 아파트 |
단층건물 | 다층건물 |
단독주택 | 공동주택 |
안마당 (수도 + 빨래건조) | 복도 / 계단실 |
온돌 (난방) | 대류난방 |
내외부공간 상호작용 | 내부공간 중심 |
한국형 아파트로 발전 |
3. 아파트 특성
- 자연순응 → 디자인 중시
- 남향 배치(일조량)
- 최대창면적: 남측 / 최소창면적: 북측
4. 아파트 단위평면
- 우리나라 거주자 삶 수용
- 여름철 맞바람을 위한 창배치 ,,, 중복도 기피현상
- 거실 창면적 극대화 = 실내조도
- 발코니 설치 / 최근에는 내부공간화 추세
5. 가구배치 / 실내계획
- 한국인 생활패턴에 대응
- 좌식가구와 입식가구 혼용
- 습식형 욕실 / 최근에는 건식 + 습식 혼용 증가
- 벽면지향형 가구배치 = 실 중앙에 앉을 공간
서구는 중앙집중형 가구배치
- 온돌 시스템 = 겨울추위 . 좌식생활
[주택론] 주택 유형 (1) | 2023.10.08 |
---|---|
[주택론] 주택의 고려사항 (0) | 2023.09.24 |
[주택론] 서양주택의 역사 (1) | 2023.09.10 |
댓글 영역